공지&뉴스
date 24-09-05
9월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성중 서울대 교수…경쟁심 만드는 뇌 작동원리 밝혀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선정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주는 상이다.
이성중 교수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가 우리 정서와 사회성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 지 규명했다. 신경교세포는 신경세포(뉴런)와 함께 뇌 속 신경계를 구성하는 조직으로 뇌 속에 가장 많이 분포한 세포이기도 하다.
뇌의 작동원리는 주로 신경세포와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여전히 뇌기능과 뇌작동 원리의 적지 않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특히 사회적 동물의 특징인 경쟁심과 우월행동을 뇌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였다.
이 교수는 이런 행동의 원인이 신경세포가 아닌 신경교세포에 의해 조절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생쥐의 뇌를 연구해 전전두엽의 신경교세포의 한 종류인 성상교세포 활동성 정도에 따라 우월행동의 양상이 조절된다는 걸 밝혔다. 생쥐의 사회적 서열을 결정하는 역할을 신경교세포가 하는 셈이다.
이 교수는 생쥐의 성상교세포 내 칼슘 활동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우월행동을 하는 생쥐의 뇌 영역을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다른 생쥐와의 경쟁 과정에서 전전두엽 성상교세포의 칼슘 활동성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간 신경세포 관점에서만 이해되던 ‘불안감’이나 ‘경쟁심’과 같은 고위뇌기능이 뇌의 신경교세포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며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불안장애’나 ‘사회성 장애’ 등 고위뇌기능 이상을 신경교세포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누르면 바로 이동) >> 조선비즈 / 뉴시스 / YTN 사이언스 / 세계일보 / 머니투데이